교육과정
공감프로그램 | 교육과정
지금까지 국내외에서도 구축하지 못했던 '공감이론'과 '공감프로그램', '공감상담'을 감정론을 기반으로 한 '공감의 원리와 공감이론'을 감정계보학적입장에서 정리하고, 한걸음 더 나아가 ‘공감이론과 공감프로그램구성’, 그리고 ‘공감상담의 실제’를 탐색하고자 한다.
주차별 | 교과과정 주제 | 내용 |
1주차(6월 09일) | 공감의 원리와 공감프로그램 | 막스 쉘러를 비롯해 프로이드와 융 아들러 등 다양한 공감이론의 문맥을 탐색하고, 이를 기초로 공감원리와 그 적용 프로그램을 구성해본다. |
2주차(6월 23일) | 감정과 정서의 이해 공감(동감)과 동정의 이해 | 감정과 정서 그리고 공감과 동정, 동감의 변별적 차이를 문헌적 맥락에서 구분하고 이들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치유적 방법론을 알아본다. |
3주차(7월 07일) | 성향별 공감의 유형 공감능력: 사랑, 레비나스의 타자성 | 성향론에서 공감반응의 내적작동의 원리를 알아본다. 더불어 레비나스의 타자성 개념이 어떻게 공감능력의 기반이 되는지 알아본다. |
4주차(7월 21일) | 공감의 기술: 청(聽)과 문(聞), 판단중지 | 공감의 기술인 ‘청’과 ‘문’을 용수의 『중도론』에서, ‘판단중지’를 훗설의 『순수현상학입문』에서 찾아본다. |
5주차(8월 04일) | 사례분석 ① : 공자의 공감치유 | 논어와 공자가어에 나타난 공자의 삶과 대화에서 공감이론의 전형과 사례를 분석해본다. |
6주차(8월 18일) | 사례분석 ② : 예수의 공감치유 | 성경에 나타난 공감이론의 원형과 예수의 공감치유 사례를 분석해본다. |
7주차(9월 01일) | 공감상담 실습 Ⅰ | 공감프로그램에 의한 공감상담을 실습해 본다. |
8주차(9월 15일) | 공감상담과 실습 Ⅱ | 공감프로그램에 의한 공감상담을 실습해 본다. |
※ 과정문의 전화 및 이메일 : 010-5769-2727/ drlimroh@hanmail.net / 한국싸나톨로지협회(www.thanatologist.org) 참조